framer motion 활용, 이미지/비디오 캐싱 및 로딩 상태 구현
학원 수업 Day26
Framer Motion
컴포넌트 마운트 시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기 쉽지만, 언마운트시에는 컴포넌트 자체가 사라져버려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기 어렵다.
Framer Motion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애니메이션 효과 후 언마운트 되도록하여 언마운트 효과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npm i framer-motion@6 --force
@6을 지워서 최신 버전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현재 제작 환경을 고려하여 6버전으로 인스톨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컴포넌트 최상단에 아래와 같이 framer-motion을 import
해야 한다.
import { motion, AnimatePresence } from 'framer-motion';
그리고 동작을 원하는 태그 외부를 AnimatePresence
으로 감싸고, 태그 자체에 motion.
을 추가한다.
<AnimatePresence>
<motion.aside
initial={{opacity: 0}}
animate={{opacity: 1, transition: {duration: 0.5, delay: 0.5}}}
exit={{opacity: 0, transition: {delay: 0.5}}}
>
</motion.aside>
</AnimatePresence>
이제 aside는 태그 내 속성값만 넣어주면 framer-motion에 의해 애니메이션이 제어가 된다.
initial - 동작 전 시작 상태
animate - 동작 완료 후 상태
exit - 컴포넌트 언마운트 후 상태
속성에는 객체 형태로 속성값들을 넣어준다. transition내 duration설정은 물론, delay 설정도 할 수 있어 모션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듯한 효과도 가능하다.
forwardRef
어제 배운 forwardRef를 다시한번 실습했다.
사용방법
-
기존의 컴포넌트 함수를 대입형 함수로 바꾸고
forwardRef()
안쪽에 함수를 넣어준다.
import도 잊지 말아야 한다. -
화살표 함수 두번째 인수로 ref 추가
-
forwardRef(함수)
내부에useImperativeHandle()
추가 -
해당 함수로 객체를 반환해서 상위 컴포넌트로 전달
-
상위 컴포넌트의
useRef()
로 forwardRef에서return
되는 자식 참조
만약 useImperativeHandle()
이 없다면 상위 컴포넌트에서는 return되는 JSX 전체를 ref 값으로 갖는다.
import { forwardRef, useImperativeHandle, useState } from 'react';
const 컴포넌트 = forwardRef((props, ref)=>{
const [open, setOpen] = useState(false);
useImperativeHandle(
ref,
() => {
return {
setOpen: ()=>setOpen(true),
};
}
)
return (
// JSX 내용
)
});
export default 컴포넌트;
이제 이 컴포넌트를 불러오는 상위 컴포넌트에서는 이 컴포넌트에서 보낸 setOpen()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위 컴포넌트에서 ref를 만들어주고 REF.current.메서드()로 사용하면 된다.
const pop = useRef(null);
<Popup ref={pop}>
내용
</Popup>
이미지, 동영상 캐싱
웹 페이지의 렌더링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SSR : server side rendering
- 페이지 이동 시 일일이 HTML 파일을 서버로부터 불러오는 방식
- 초기 로딩 속도가 빠르다.
- SEO 최적화에 유리하다.
CSR : client side rendering
- 초기 페이지 로딩 시 모든 컴포넌트(JSX) 파일을 한번에 불러오는 방식
- 한번 데이터를 가져온 이후 페이지 이동 시 전환 로딩이 없다.
- 초기 로딩 속도가 상대적으로 길다.
- SEO 최적화에 취약하다.
리액트는 CSR 방식으로 렌더링 한다.
먼저 컴포넌트들을 받아와서 화면에 렌더링 해주는 방식으로, 최초 로딩 이후 화면 전환 시 로딩이 없고, 변화가 있는 부분들만 바꾸어 보여주는 식이다.
하지만 이미지, 동영상은 해당 컴포넌트 마운트 시 불러오게 되는데, 용량이 비교적 큰 이미지는 불러오는 데 시간이 걸려서 리액트의 장점을 살리지 못한다.
페이지가 로드될 때 로딩 화면을 보여주면서 원하는 또는 중요한 이미지들을 미리 캐싱하고, 이미지와 비디오의 로드가 모두 완료되면 로딩 화면을 지우고 페이지를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 화면 전환 시 자연스럽다.
DOM 요소 생성
index.html
파일에 이미지를 불러와서 넣을 요소와 로딩 화면을 연출할 요소를 추가한다.
<div class="defaults"></div>
<div class="mask">Loading...</div>
.defaults{
position: absolute;
top: -99999999px;
}
.mask{
width: 100%;
height: 100vh;
background-color: #111;
position: fixed;
top: 0;
left: 0;
z-index: 100;
opacity: 1;
transition: opacity 2s;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mask.off{
opacity: 0;
}
.default는 이미지들을 넣을 요소로 내용이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위치값을 준다.
.mask는 로딩화면이므로 처음에는 opacity
값이 1으로 활성화 되었다가, 로딩완료 후 off상태 시 0으로 안보이게 해 준다.
데이터 세팅
const defaults = document.querySelector('.defaults');
const mask = document.querySelector('.mask');
let tags = '';
const baseUrl = 'img 폴더 절대경로';
const imgs = [
baseUrl+'이미지파일명1.jpg',
baseUrl+'이미지파일명2.jpg',
baseUrl+'이미지파일명3.jpg',
baseUrl+'이미지파일명4.jpg',
]
const vids= [
baseUrl+'비디오파일명1.mp4',
baseUrl+'비디오파일명2.mp4',
baseUrl+'비디오파일명3.mp4',
baseUrl+'비디오파일명4.mp4',
]
앞서 만든 두 DOM요소와 미리 캐싱할 이미지, 비디오 파일을 배열로 담아 준비한다.
데이터 출력
function createDOM() {
imgs.forEach(src=>tags+=`<img src=${src} />`);
vids.forEach(src=>tags+=`<video src=${src}></video>`);
defaults.innerHTML = tags;
}
배열로 저장해 둔 이미지, 비디오를 DOM요소로 생성해서 defaults에 넣는다.
이렇게만 해도 이미 이미지와 비디오들은 페이지 오픈 시 미리 한번에 캐싱하게 된다.
11/2 내용추가
아이폰에서 페이지를 열면 동영상을 불러올 수 없어서 로딩화면이 사라지지 않는 현상을 발견했다.
video
에 autoplay muted playinline
속성을 넣어주면 해결된다.
function createDOM() {
imgs.forEach(src=>tags+=`<img src=${src} />`);
vids.forEach(src=>tags+=`<video src=${src} autoplay muted playinline></video>`);
defaults.innerHTML = tags;
}
로드 상태 반환
function loadImg() {
return new Promise((res,rej)=>{
let countImg = 0;
const imgDOM = defaults.querySelectorAll('img');
imgDOM.forEach(img=>{
img.onload = ()=>{
// 로드 완료 후 변수 하나씩 증가
countImg++;
// 완료된 갯수가 배열 값의 갯수와 같다면 정상값 반환
if (countImg === imgs.length) res(true);
}
})
})
}
function loadVid() {
return new Promise((res,rej)=>{
let countVid = 0;
const vidDOM = defaults.querySelectorAll('video');
vidDOM.forEach(vid=>{
vid.onloadeddata = ()=>{
countVid++;
if (countVid === vids.length) res(true);
}
})
})
}
이미지와 비디오의 로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로드 상태를 Promise
객체로 return
받는 함수를 만든다.
이미지가 로드 되었는지 확인하는 이벤트명은 onload
이고, 비디오를 확인하는 이벤트는 onloadeddata
으로 서로 달라서 함수를 별도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각각의 함수는 load가 완료되면 true 값이 반환된다.
Promise.all
async function endLoading() {
const result = await Promise.all([loadImg(), loadVid()])
// 배열 내 모든 Promise가 완료되면 각각의 값을 result로 받음
const [loadedImg, loadedVid] = result;
// result의 결과값들이 배열에 담겨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변수로 재할당
if (loadedImg && loadedVid) {
// 둘 다 true 상태라면 로딩 화면을 안보이도록 처리
mask.classList.add('off');
}
setTimeout(()=>{
// 로딩화면 투명효과 적용이후, 생성했던 DOM 요소들을 제거
mask.remove();
defaults.remove();
}, 2000); // 로딩화면 transition이 1s이므로 해당시간보다 길게 지정
}
두개의 Promise 가 모두 true
상태여야 로딩화면을 지우고 사이트를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Promise.all
을 사용한다.
함수 호출
지금까지 만든 함수들은 선언만 되고 실행이 되지 않았으므로 각 함수를 실행해주어야 작동된다.
createDOM();
endLoading();
돔 생성과 로딩 종료 함수를 실행해야한다.
나머지 이미지, 비디오 로딩 함수는 종료 함수 내에서 불러오므로 전역에서 실행시킬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