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tGPT 오늘의 질문 & 정리 모음


❓ 유닉스에서 커널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답변: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제어하며 사용자 프로그램이 요청하는 시스템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스케줄링, 입출력 제어, 파일 시스템 등이 모두 커널이 담당하는 영역이다.


❓ 쉘은 무엇이며, 커널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답변:
쉘은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해석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해 실제 실행이 이뤄지게 한다. 사용자는 쉘을 통해 간접적으로 커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유닉스 파일 시스템에서 ‘모든 것을 파일로 추상화’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답변:
유닉스는 하드웨어 장치, 디렉토리, 소켓 등 다양한 자원을 전부 파일처럼 접근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인터페이스를 통일시켜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복잡한 장치 제어를 몰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유닉스 파일의 inode에서 보호 비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답변:
보호 비트는 해당 파일의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비트로, 읽기(r), 쓰기(w), 실행(x)에 대한 권한을 사용자(owner), 그룹(group), 기타(other)로 나누어 9비트로 표현한다.


❓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호 변환 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답변:

장치 기능 사용 예
모뎀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전화선 기반 통신
코덱 디지털 ↔ 디지털 (압축/복호화) 영상·음성 전송
ADC/DAC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 센서, 마이크, 스피커
트랜시버 디지털 ↔ 무선 주파수(RF) 변환 무선 LAN, 위성 통신
MUX/DEMUX 신호 병합/분리 회선 절약, 전송 효율 향상

❓ DSU(Digital Service Unit)는 어떤 장치인가?

답변:
DSU는 디지털 전용 회선에 적합하도록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하는 장치다. 유니폴라 데이터를 바이폴라 부호화 방식으로 변환해 송수신에 적합하게 만든다.


❓ 유니폴라와 바이폴라 신호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답변:

  • 유니폴라: 0V와 +V만 사용 → 직류 성분이 많아 장거리 전송에 부적합
  • 바이폴라: +V와 -V를 번갈아 사용 → DC 성분 제거, 노이즈에 강함

❓ DSU는 유니폴라 신호를 바이폴라로 변환하기도 하는가?

답변:
그렇다. DSU는 입력되는 유니폴라 디지털 신호를 회선 전송에 적합한 바이폴라 방식으로 변환한다.


❓ 모뎀이 처리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란 무엇인가?

답변:
모뎀이 다루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사람의 음성, 연속 센서 신호와 같은 연속된 파형이다. 모뎀은 이를 디지털 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반대로도 수행한다.


❓ 코덱과 모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답변:

  • 코덱: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거나 복호화 → 디지털 ↔ 디지털 변환
  • 모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회선으로 변환 →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 PCM(Pulse Code Modulation)은 어떤 방식인가?

답변: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하고, 각 샘플을 정수 값으로 양자화한 후 이를 2진수로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 코덱은 PCM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답변:
코덱은 PCM 방식으로 음성을 디지털화한 뒤, 압축을 적용하거나 그대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복호화해 원래 음성으로 되돌린다.


❓ ITU-T V 시리즈와 X 시리즈는 각각 어떤 표준을 다루는가?

답변:

시리즈 내용 예시
V 시리즈 모뎀, 전화 기반 통신, 속도, 에러제어 V.90, V.42
X 시리즈 데이터 통신, 보안, 인증, 디렉토리 서비스 X.25, X.509, X.500

❓ RS-232C는 어떤 표준이며 왜 많이 사용되는가?

답변:
RS-232C는 EIA에서 제정한 직렬 통신 표준으로, 컴퓨터와 모뎀, 장치 간 통신을 위해 고안됐다. 최대 115.2kbps의 속도로 DB-9 또는 DB-25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단순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 다중화기(MUX)는 어떤 장치이며 왜 사용하는가?

답변: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전송 회선으로 통합하는 장치다. 이를 통해 회선 수를 줄이고,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대 역할을 하는 장치는 DEMUX(역다중화기)다.


❓ 시분할 다중화기(TDM)에는 어떤 방식이 있는가?

답변:

방식 설명
동기식 TDM 각 채널에 고정 시간 슬롯을 주기적으로 할당. 데이터가 없어도 전송됨
비동기식 TDM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채널에만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 효율적이지만 구현 복잡
  • 동기식: 단순하지만 비효율
  • 비동기식: 효율적이지만 채널 식별 정보 필요